top of page

성경 권명

레위기

​성경 장

11

정하고 부정한 동물들

내용개요

하나님의 백성이 된다는 것은 모든 면에서 세상과 구분이 되고 하나님의 명령이 모든 삶의 기준이 됨을 의미한다. 본장에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정결을 위해 가려야 할 음식에 관한 규례를 기록하고 있다. 짐승 중에는 되새김질하고 쪽발인 것만 먹어야 하고(1-8절), 어류 중에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것은 부정한 것으로 먹어서는 안 된다(9-12절). 또한 새와(13-19절) 곤충도(20-28절) 부정한 것과 정결한 것을 나누며 마지막으로 땅에 기는 것 중에 부정한 것을 나누고 있다(29-47절).

강해

레1장에서부터 10장까지는 제사 제도와 제사직을 통해 사람들이 하나님께로 나아가는 길과 친교의 삶에 대하여 언급하였습니다. 그러나 본장에서부터 16장까지는 하나님과의 온전한 교제에 방해가 되는 요소, 곧 정함과 부정함에 관한 규례, 그리고 그것의 정결법을 구체적인 내용으로 담고 있습니다. 특히 본장에서는 동물 중에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별하였습니다.

1. 짐승과 물고기

1)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에 대한 구별은 레12장에서부터 15장까지의 정결법에 대한 서론적 도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구별은 일상 생활 중 가장 기본적인 식생활에서의 정결에 관한 규례입니다. 정결한 짐승으로 먹을 수 있는 조건은 굽이 갈라져 촉발이 된 짐승과 새김질하는 짐승입니다. 이중 한 가지 조건이라도 해당하지 않는 짐승은 먹을 수 없습니다. 이 조건에 해당되는 짐승은 소, 양, 염소, 사슴, 노루 등이고, 부정한 짐승은 약대, 사반, 토끼, 돼지 등입니다. 하나님께서 식용으로 먹지 못할 짐승을 말씀하시고 그 주검도 만지지 말라고 하신 것은 그것들이 사람에게 부정한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a. 육지 생물 중 먹을 만한 것(레11:3)
b. 부정한 짐승 사반(레11:5)

2) 식용 가능한 물고기
하나님은 바다, 강의 수많은 종류의 물고기 중 식물로 삼을 수 있는 것을 정해 주셨습니다. 즉 비늘과 지느러미가 있는 것을 식량으로 삼으라고 하신 것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선민에 대한 배려인 것입니다. 식품 의학적으로도 지느러미와 비늘을 갖춘 물고기는 위생에 문제가 없으며, 영향도 균형 있게 갖춘 것으로 판명되고 있습니다. 지느러미와 비늘이 있는 물고기들은 대체로 깨끗한 물체서 살며, 그 몸에 독소가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먹을 수 없는 물고기들은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뱀장어, 낙지, 복어, 상어, 바다뱀 등이 있습니다.
a. 바다에 있는 것(시8:8)
b. 비늘 없는 것은 부정함(신14:9-10)

2. 새와 곤충

1) 가증한 새
하나님께서 가증한 새로 분류하여 먹지 말라고 하신 새들은 모두 육식을 하는 것들입니다. 이러한 새들은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 첫째 부류는 사나운 새 들이고, 둘째 부류는 더러운 고기를 먹고 사는 새들이며, 셋째 부류는 밤에 활동하는 새들입니다. 하나님께서 가증한 새고 분류하여 식용이 금지된 새는 독수리, 솔 개, 어응, 매, 울응, 새매, 까마귀, 타조, 갈매기, 학, 따오기, 황새, 당아, 대승, 노자, 올빼미, 부엉이, 다호마스, 박쥐 등입니다.
a. 먹지 못할 새들(레11:13)
b. 아무것이나 취해서는 안 될 성도(약4:2)

2) 곤충
하나님께서는 날개가 있고 네 발로 기어 다니는 곤충은 부정하다고 하셨지만, 그 발에 뛰는 다리가 있어서 땅에서 뛰는 것은 정한 곤충이라고 하셨습니다. 날개가 있으되 기어다니는 곤충은 뱀과 연류되어 부정하고 악마적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날개가 있으면서도 그 날개를 마땅한 용도대로 사용하지 않고 기어다니므로 하나님은 가증하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부정한 곤충들은 먹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정한 곤충들은 식용이 가능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곤충으로 메뚜기, 귀뚜라미, 그리고 베짱이를 예로 들어 주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정한 곤충을 사람의 식용으로 허락하시는 데서 우리는 하나님 앞에 정한 자가 되어야 함을 배우게 됩니다. 하나님께서 쓰실 만한 도구가 되기 위해서 모든 성도는 정한 마음, 정한 행실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a. 나는 데 사용되는 날개(시55:6)
b. 부정한 곤충(레5:2)

3. 부정한 것의 규례

1) 부정한 짐승의 사체를 만진 자
부정한 짐승의 주검을 만진 자나 옮긴 자는 역시 부정한 자로 간주되었습니다. 먹지 못할 것들과 가증한 것들은 부정한 것으로 사람에게 부정을 끼쳤습니다. 이러한 부정한 짐승의 사체는 더욱 그러했습니다. 사체에는 부패균이 있으므로 사람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많습니다.
a. 주검도 만지지 말라(레11:8)
b. 깨끗케 않는 자는 죽음을 당함(레15:31)

2) 부정한 것들이 닿은 것
하나님께서는 기는 것들의 주검이 목기, 의복, 가죽 부대, 그릇 등에 떨어지면 그것들도 부정해진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부정한 것에 닿은 것이 다 부정하다고 하신 데서 우리는 더럽고 부정한 것에 대해서 경계해야 할 필요성을 새우게 됩니다.
a. 진흙으로 만들어지는 질그릇(사45:9)
b. 유출병자가 만진 질그릇과 목기(레15:12)

3) 거룩해야 할 백성
죄악 된 본성과 본질적으로 분리된 하나님은 거룩하신 분입니다. 그러므로 거룩하신 하나님과 교제하는 백성 역시 거룩한 백성이어야 합니다. 오늘날의 성도들도 하나님의 백성으로 성도의 몸을 구별하여 거룩히 해야 합니다.
a. 작은 죄라도 회개하라(마5:26)
b. 주의 백성(출32:12)

결론
본장에는 정결한 동물과 부정한 동물을 구분한 것과 부정한 동물로 인한 오염 제거법을 다루었습니다. 이처럼 하나님께서 부정한 동물에 관한 의식적 규정을 두신 목적은 선민으로서의 이스라엘을 이방인들의 종교적, 문화적인 타락으로부터 보전하는 데 있었습니다. 이는 오늘날 이 시대를 사는 성도들도 영적 성결과 거룩함을 유지하기 위해 힘써야 함을 가르쳐 줍니다. 따라서 우리는 영적으로 부정한 것들을 멀리하는 구별된 삶을 살아가야 하겠습니다.

단어해설

3절. 굽이 갈라져 쪽발이 되고. '굽'을 가리키는 원어 <s;r]P':파라쓰>는 '찢다, 나누다'에서 나온 말. 새김질하는 것. 한번 먹은 음식을 토해 내어 입안에서 계속 씹는 것. 많은 초식성 동물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5절. 사반. 원어 <@p;v;:솨판>은 '너구리'를 의미.

8절. 주검도 만지지 말라. 주검이란 죽은 동물의 사체 죽음은 곧 죄의 결과라는 신학 사상이 반영됨.

25절. 옷을 빨지니. 청결의 목적과 아울러 종교적 회복을 암시.

30절. 칠면석척. 카멜레온, 또는 두더지로 해석.

신학주제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 본장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먹을 수 있는 짐승과 먹어서는 안 되는 짐승을 나누고 있다. 짐승을 정한 것과 부정한 것으로 나누고 있다는 것이 하나님께서 창조하실 때 부정한 본질을 가진 짐승을 창조하였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하나님이 만드신 것은 모든 것이 선하므로 결코 더러운 것이 없다. 다만 본장에서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을 이방인들과 구별하기 위한 표식으로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을 구분하는 것이다. 그래서 짐승에 대한 구별의 기준은 대개 식용 가능성 여부와 더불어 그들이 지치는 상징적 특성을 따르고 있다. 예를 들어 쪽발은 이스라엘의 성별을 상징한다. 그리고 되새김질은 주로 초식 동물의 특성으로, 그들이 지니는 온순함과 화평은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대한 충성과 공동체의 평화를 상징한다. 이처럼 본장에 나타난 음식의 구별은 단순히 식생활에 관계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으로 이스라엘이 지녀야 할 자세를 말해 주고 있다.

영적교훈

본장에 나오는 짐승 중에서 정한 짐승은 대부분 성격이 온순한 것이다. 반대로 부정한 짐승은 공격적이고 더러운 곳을 좋아하고 당시 사람들에게 재앙을 상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한 짐승만을 먹으라는 하나님의 명령은 성도들이 온순하고 평화를 추구하며 살아갈 것과 세상의 악에 물들지 않고 언제나 영적, 도덕 적으로 깨끗한 삶을 살아야 할 것임을 교훈해 주고 있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성도들은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며, 사람들에게 선하고 공의로우신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bottom of page